네이버 자료 (FnGuide 2020.12.17) : 첫번째/두번째는 동일하며 세번째 내용이 변경됨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B9%B4%EC%B9%B4%EC%98%A4(%EA%B8%B0%EC%97%85)
@2021-02-10
12MF (12 Month Forward) 즉 앞으로 12개월후 가치를 평가한 표이며,
2020년 11월 교보증권 리포트(https://lecos.tistory.com/31)와 비교해
2021년 2월에서 크게 변경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승하락에 대해 색깔을 넣었습니다.
카카오 뮤직가치: 2486→1797 (50% 디스카운트함, 환율상승, 가입자당 가치감소)
카카오커머스 지분가치: 5323 → 3445 (아마존/알리바바 PER반영값이 확 줄어듬)
카카오페이 지분가치: 6864 → 10073 (페이거래액증가)
카카오게임즈 지분가치: 1056 → 1286 (카카오게임즈 성장)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지분가치: 페이지 2389 + M 1329 = 3718 → 엔터 4851 (합병시너지)
카카오재팬(픽코마) 지분가치: 3219 → 3915 (PSR 감소에도 불구하고, 거래액 653→930 증가예상)
카카오뱅크: 3560 → 2900 (시중은행 PBS 반영)
카카오엔터프라이즈: X → 1032 (신규반영)
@2021-05-07
자회사 지분가치는 지난분기처럼 등락이 좀 있지만 대부분 상승했고, "두나무" 지분가치를 추가해 카카오 전체 SOTP(Sum of the Parts) 가치를 많이 높혔습니다. "지그재그" 손자회사 편입됐는데, 카카오 커머스의 가치를 많이 높혀진 것으로 봐서 그 가치도 반영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직 5월이 안됐고 2020년 지배구조 자료를 참고하세요.
2020년 글(https://lecos.tistory.com/31)
2021년 지배구조 자료가 나와서 올립니다. (@2021-09-04)
2020년 글(https://lecos.tistory.com/31) 참고하세요.
넷꾼이 생각하는 카카오의 가장 큰 장점은 다음 두가지 입니다.
앞으로 상장할 자회사가 많고, 적자인 신규사업들이 계속 흑자전환할 것으로 보인다는 겁니다.
앞으로 인공지능 산업 규모가 커질텐데 카카오가 제일 먼저 앞서갈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실 이 두가지 때문에 카카오 주주가 됐습니다.
Q. 카카오 자회사가 상장되면 카카오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줄어들지 않을까요?
A. 아닙니다. 카카오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이기에 자회사 상장이 바람직한겁니다.
카카오 자회사 수가 100여개입니다. 앞으로도 상장할 자회사는 많답니다.
길게 쓴 설명은 이 글 보세요 https://lecos.tistory.com/65
2020년 글(https://lecos.tistory.com/31) 참고하세요.
※ 카카오 회사가 아닌, 카카오톡의 단점
오래전 이슈들부터 자세히 잘 기록되어있어요.
2020년 글(https://lecos.tistory.com/31) 참고하세요.
2020년 이슈중 일부는 지속되고 있지만 그 내용은 2020년 글(https://lecos.tistory.com/31) 참고하세요.
1. 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사업자 탈락 https://cp.news.search.daum.net/p/102631133
[이슈분석] 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중단’ 유보 논란...소비자 불편 해소 vs 특혜 - 한스경제_한
대주주 적격성 문제를 겪은 카카오페이가 지난달 27일 마이데이터 1차 본허가 명단에서 빠졌다. 이에 따라 카카오페이는 5일부터 자산관리 서비스를 중단했다. 마이데이터 1차 심사에서 탈락한
www.sporbiz.co.kr
알리페이(앤트그룹 앤트파이낸셜)는 제3자유상증자형태로 카카오페이에 거액을 투자해서 2대주주가 됐습니다. 그런데 마윈 앤트그룹회장의 중국정부 비난으로 인해 앤트그룹 상장이 취소되는등 큰 이슈가 생겼고, 그 와중에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사업자 선정 심사에서 대주주적격성 심사를 받아야하는 상황이 되죠. 중국정부가 앤트그룹에 대한 적격성 심사자료를 주지 않아, 우리정부는 규정대로 마이데이터 사업에서 카카오페이를 탈락시켰습니다. 다행히 심사제도 수정 등을 통해 이게 해결될 기미가 조금씩 보이고 있으니 지켜보시죠(@2021-02-19)
2. 케이큐브홀딩스 김범수 자녀 입사후 거액 연봉 https://lecos.tistory.com/98
카카오의 모회사(?) 케이큐브홀딩스
사실 제목과 달리, 카카오의 모회사는 없습니다. 김범수님이 최대주주니까요. 다만 카카오 지분 관계를 보면 카카오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케이큐브홀딩스 회사가 있습니다. 마치 카카오의
lecos.tistory.com
기사내용에 대해 따로 쓴 글인데 카카오 최대주주의 이미지에 관련 있는 내용입니다. 아시다시피, 카카오 회사의 회계상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감시해야할 대상).
3. 김범수의장의 재산 절반기부 약속
http://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1/02/09/0012/daum
남다른 스케일 사회환원, 김범수 기부는 왜 뜨겁나
한국판 빌 게이츠 모델이라는 평가에서부터 경영승계 의혹 국면전환용이라는 지적까지.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의 '재산 절반 기부'를 둘러싼 말들이 많다. 김 의장이 보유한 카카오 지분 가
news.bizwatch.co.kr
지금껏 봐왔던 굉장히 큰 이슈인데요. 어떻게보면 기업총수의 이미지가 +1000점 줘야할 정도로 높아진 내용입니다. 당장 카카오에 플러스되는 내용은 없지만 긍정적인 이슈임은 틀림없습니다.
4. 카카오 직원 유서 논란
카카오 직원 유서 논란 - 나무위키
안녕히.가족들에게 너무 많이 미안하다.한없이 미안하고 미안하단 말밖에 못하겠어. 하지만 너무 힘들고 지쳐. 지금 삶은 지옥 그자체야. 나는 편한길을 찾아 떠나는거니 너무 슬퍼하지 말기도,
namu.wiki
2021-02-17 Blind앱에 올려진 카카오 직원의 유서 관련 내용이 나무위키에 잘 정리되어있네요. 실제로 자살한 직원은 없다고 하긴 하지만, 그런 글이 올려지게 된 직원평가방식("함께 일하고싶지 않은 직원") 그리고 카카오가 언론기사를 통제한 정황은 유의해야할 점으로 보입니다. 직원평가할때 긍정적인 부분을 조사해서 상을 주는 방식이 더 좋은데 반대로 일하고 싶지않은 사람을 평가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보입니다. 카카오가 언론 통제한 정황은 언론사 스스로 잘못을 바로잡으려고 삭제했을 수도 있습니다.
5. 근로기준법 위반 이슈
2021-06-02 카카오 '주 52시간 이상·임산부 시간 외 근무' 등 적발
https://www.yna.co.kr/view/AKR20210602060200061?section=news
카카오 '주 52시간 이상·임산부 시간 외 근무' 등 적발 | 연합뉴스
(성남=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IT업체 카카오의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등 노동관계법 위반 사항들을 적발해 시정...
www.yna.co.kr
6. 카카오의 무한확장에 대한 우려
2021-08-29 [더 스페셜리스트] 카카오의 무한 확장, 괜찮을까?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55&aid=0000917573
[더 스페셜리스트] 카카오의 무한 확장, 괜찮을까?
현재 대한민국의 부자 1위는 카카오의 김범수 회장입니다.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단숨에 제쳤고, 셀트리온 서정진, 현대차 정몽구 회장도 줄줄이 뒤로 밀렸죠. 2010년 첫해 매출이 3천400만 원.
news.naver.com
7. 카카오 때리기 (카카오페이/택시/헤어샵 등 빅테크 골목상권 진입)
2021-09-16 [빅테크 규제]갑작스러운 '카카오 때리기' 왜?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1/09/15/0028
[빅테크 규제]갑작스러운 '카카오 때리기' 왜?
세계 최초로 '구글 갑질방지법'을 통과시킨 정치권이 국내 빅테크 기업에 칼끝을 겨누고 있다. 빅테크 기업 중 카카오를 정조준했다. 카카오는 내달 국정감사 역대 최초로 4곳의 국회 상임위원
news.bizwatch.co.kr
8. ESG 등급 상향
2021-10-19 [ESG 등급 분석] 카카오, 글로벌 시선은 달랐다…골목상권 논란에도 A 등급
3년 연속 등급상향, 인적자본·프라이버시 점수 높아…사회(S)점수 저조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10131743039880107042&lcode=00
[ESG 등급 분석]카카오, 글로벌 시선은 달랐다…골목상권 논란에도 A 등급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9. DJSI 3개 지수 신규 편입
2021-11-15 카카오가 DJSI 월드·DJSI 아시아태평양·DJSI 한국지수에 포함됐습니다.
https://zdnet.co.kr/view/?no=20211115083844
카카오 ESG 공신력↑...‘DJSI’ 3개 지수 신규 편입
카카오(공동대표 여민수, 조수용)가 올해 외부 기관이 평가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 평가에서 지난해 대비 개선된 성과를 거뒀다고 15일 밝혔다.카카오는 지속가능...
zdnet.co.kr
◇ 카카오 주주가 되어보세요! 공모주청약도 해보시구요!
◇ 넷꾼 카카오톡 단톡방 가입방: https://open.kakao.com/o/gwGBiu3c
카카오주주방 등의 단톡방에 오셔서 질문가능합니다.
카카오 액면분할: 궁금하다구요? (0) | 2021.02.25 |
---|---|
메타버스: 우리 모두 여기로 들어가볼까요? (1) | 2021.02.21 |
카카오 2/10 증권사리포트와 설연휴 영화스케줄 (0) | 2021.02.10 |
카카오의 모회사(?) 케이큐브홀딩스 (0) | 2021.02.08 |
주주님이 바라보는 카카오의 미래 (0) | 2021.01.24 |
◇ 카카오 주주가 되어보세요! 공모주청약도 해보시구요!
◇ 넷꾼 카카오톡 단톡방 가입방: https://open.kakao.com/o/gwGBiu3c
◇ 일부 이미지는 미리캔버스의 저작권 보호를 따르며, 다른 저작권은 문의바랍니다.
◇ 모든 내용은 투자권유가 아니며 투자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