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지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PER = PBR / ROE
PBR = PER / ROE
ROE = PBR / PER = EPS / BPS
자본금 100만원으로 치킨가게를 열었는데 당기순이익이 10만원 발생했고
주식을 1주 발행했는데 현재 주가가 50만원이라면,
PER = 50/10 = 5
PBR = 50/100 = 0.5
ROE = 10/100 = 0.1
(총 주식수가 1주라고 가정해 주가와 시가총액이 같아야 숫자가 정확히 맞습니다.)
EPS = 주당 순이익 = 당기순익 / 주식수
BPS = 주당 순자산가치 = 순자산가치 / 주식수
PER =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 주가 / EPS = 시가총액 / 당기순익
PBR = 주당순자산배율 (Price on Book-Value Ratio) = 주가 / BPS = 시가총액 / 자본총액
ROE =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당기순익 / 자본총액
각각의 일반적인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 수익성 지표로 시총을 투자금이라고 한다면 몇년 뒤면 본전을 뽑을 수 있는가의 의미입니다.
적정주가를 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널리 사용됩니다.
동일 업종의 PER을 비교해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BR: 안전성 지표로 시총과 회사의 자기자본의 비율로 회사의 청산가치를 의미하며 낮을수록 안전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이하이면 자산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ROE: 성장성 지표로 이 지표를 통해 주어진 자본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느냐를 알 수 있으며
높을수록 성장성이 우수하고 자본이 빨리 늘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2% 이상이면 자본 효율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 참조 출처: http://www.enplanet.co.kr/technote7/board.php?board=mobinfo&command=body&no=21
3가지 지표는 생각하기 어려운데
PER, PBR : 낮을수록 좋은 종목
ROE : 높을수록 좋은 종목
다만 동일 업종에 있는 종목끼리 비교하셔야합니다.
추가 설명
PER과 PBR 두가지 P*R 지표는 모두 Price 즉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 말하는 것이라 수치가 낮을수록 저평가 좋목이라서 사기도 좋고 올라간 가능성도 많은 종목이고, ROE의 R이 수익인데 수익이 높을수록 좋은 종목이 되겠죠?
증권사 리포트 링크 모음 (0) | 2021.09.25 |
---|---|
메타버스 관련 정보 및 관련주 (0) | 2021.07.10 |
개인 공매도 하기 (0) | 2021.05.05 |
절세위한 ISA 계좌 이용하기 (0) | 2021.03.07 |
[증권사앱] 키움영웅문S# 새롭다 와~ (0) | 2021.02.26 |
◇ 카카오 주주가 되어보세요! 공모주청약도 해보시구요!
◇ 넷꾼 카카오톡 단톡방 가입방: https://open.kakao.com/o/gwGBiu3c
◇ 일부 이미지는 미리캔버스의 저작권 보호를 따르며, 다른 저작권은 문의바랍니다.
◇ 모든 내용은 투자권유가 아니며 투자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